Surprise Me!

탐사보도 [뉴스프리즘] 106회 2022.12.24 방송

2022-12-24 3 Dailymotion

탐사보도 [뉴스프리즘] 106회 2022.12.24 방송<br /><br />AI와 채팅하는 시대…일상 어디까지 들어올까?<br />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 / 연합뉴스TV (YonhapnewsTV)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, AI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습니다. 세계 최대 AI 연구소 '오픈AI'가 만든 AI기반 챗봇인 '챗GPT'가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. 텍스트를 입력하면 답이 자동으로 나오며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AI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은 1997년 IBM의 딥블루가 세계 체스 챔피언인 카스파로프를 꺾으면서 시작됐는데요. 이제 인간과 대화를 하고, 인간에게 컨설팅을 해주고, 원하는 그림을 그려주는 수준으로 진화했습니다.<br /><br />뉴스프리즘 첫 번째 리포트로 '챗GPT'와 실제 대화를 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는 AI가 만든 그림과 곡 등이 창작품으로 대우를 받을 수 있는지 등 AI를 둘러싼 논란을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김지수 기자가 챗GPT를 만나봤습니다.<br /><br />[챗GPT 체험기…AI "인공지능 윤리성 인간 지시에 달려" / 김지수 기자]<br /><br />한국마이크로소프트, 네이버, 구글코리아 등 8개 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교육청과 인공지능 기반 학습 플랫폼 '뉴쌤' 개발·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이후 뉴쌤을 통해 학습활동, 성적 등을 활용한 학생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취약분야 보완 방법 제시, 진학 상담까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교육의 본질에 대해서 깊이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는 기술은 단순히 자동화 기술이 아니라 데이터를 통한 다양한 예측과 판단을 같이 해 줄 수 있는 AI 기술이 가장 적합한 그리고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고 믿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특히 최근에는 미국 오픈AI라는 기업이 출시한 대화형 AI '챗GPT'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업무에 쓰일 수준의 보고서 작성, 리서치까지 가능할 것이란 평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대화형 AI 중 최첨단 수준으로 SNS상에서도 화제로 개발사는 투자 유치과정에서 200억 달러, 우리 돈 약 26조 원 상당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으면서 기술 발전 가능성에 기대감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지수 기자]<br /><br />"대중에게 무료로 공개된 인공지능 챗봇 '챗GPT'에 직접 질문을 넣고 답변을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코딩 등 단순한 일상 대화를 넘어선 영역에서도 막힘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파이선 코드를 요청하자 코드를 작성해 보겠다며 척척 답변을 내놓습니다.<br /><br />눈이 내리는 날을 배경으로 시를 요청하자 나름의 문장을 갖춘 시 한 편을 써 내려 갑니다.<br /><br />형식에선 아쉬움이 있었지만, 기존에 없는 창작물을 만들어낸 겁니다.<br /><br />AI가 생각하는 인간의 약점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졌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인간은 각자 약점이 완전히 다를 수 있다고 전제하더니 정신, 신체, 정서, 지적인 부분으로 세분화해 우울증, 스트레스, 정신적 장애 등을 제시합니다.<br /><br />사고실험 중 하나인 '트롤리 딜레마' 질문으로 달리는 기차 앞 선로 변경으로 노인 3명과 어린이 1명의 생명 중 선택을 요구하자.<br /><br />AI는 선택을 할 수 없고 인간 생명과 자산을 위협할 수 있어 인간이 책임과 의무를 숙지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AI가 앞으로 얼마나 더 똑똑하게 그 역할을 늘려갈지 예측이 어려운 가운데 논란이 될 인공지능의 윤리성에 대해 마지막으로 물었습니다.<br /><br />답변은 "인간의 지시가 윤리적인 경우 AI도 윤리적이다. 그러나 인간이 주는 지시가 윤리적이지 않은 경우 시스템도 윤리적이지 않게 된다" 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AI가 예술과 작문에도 눈을 뜬 것일까요?<br /><br />올해 들어 인간이 주문한 대로 그림을 그리고, 소설을 쓰고, 작곡하는 AI 서비스들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완성도가 높아졌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졌던 창작에 나선 AI의 모습, 그리고 이로 인한 논란을 서형석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예술은 인간만의 영역?…창작에 눈뜬 인공지능 / 서형석 기자]<br /><br />빅토리아풍 풍성한 드레스를 입은 여인들의 시선은 거대한 기둥 너머 미지의 세계를 향합니다.<br /><br />작품 이름은 '스페이스 오페라 극장'<br /><br />게임 디자이너 제이슨 앨런은 AI를 이용해 생성한 이 그림으로 미술대회 1등을 거머쥐었습니다.<br /><br />AI의 상상력은 끝이 없는 듯합니다.<br /><br />'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' 주변 검정 배경은 더 이상 빈 공간이 아니게 됩니다.<br /><br />[서형석 기자]<br /><br />"이런 AI 사용에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건 아닙니다. AI가 방송기자를 그리면 저랑 얼마나 닮았는지 직접 해보겠습니다."<br /><br />이런 그림을 그려달라는 글을 한 문장 적고 입력 버튼을 누르자, 30초도 안 돼 한꺼번에 4점의 그림이 완성됐습니다.<br /><br />이질감이 느껴지긴 하지만 TV 화면 속 어디선가 봄 직한 얼굴들이 만들어진 겁니다.<br /><br />AI의 재주는 음악으로도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원하는 장르와 길이 정도만 입력하면 10초도 안 돼 음악 한 곡이 완성됩니다.<br /><br />그동안 30만 곡을 넘게 만들어냈고, 유명 트로트 가수의 저작권자로도 이름을 올렸는데,<br /><br />지난 7월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저작권료 지급을 끊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재 저작권이라는 거는 자연인 결국은 사람에게만 부여되는 권리입니다. 그래서 저희 AI가 곡을 썼을 때는 저작권료를 받을 수가 없는 상황…"<br /><br />저작권법에서 말하는 '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'로 인정받지 못한 겁니다.<br /><br />다른 한 편으로 AI는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허락 없이 다른 작가들의 그림을 학습해 비슷한 그림을 만들어 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AI 창작의 다른 한계에도 주목했습니다.<br /><br /> "사실 창작물이라는 게 단순히 보여지는 것만 또는 들려지는 것만이 아니고 그 안에 ...

Buy Now on CodeCanyon